본문 바로가기
산야초에 관한

산초와 초피(제피)에 관하여..

by 휘뚜루50 2021. 12. 1.

▒ 산초와 초피(제피)에 관하여..

 

▒ 산초나무에 대하여..


    학명 Zanthoxylum schinifolium로 운향과(芸香科 Rutaceae)에 속하는

    낙엽관목(분지,분디나무라고도 함)

산초나무는 운향과에 속하는 낙엽관목으로 높이가 3-4m에 달하고 줄기와 가지에 탁엽이 변해서 

된 가시가 불규칙하게 나 있고  잎은 13~21개 정도의 잔잎으로 이루어진 겹잎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잎에서 특유의 향기가 나고 잎가장자리에는 톱니형태의 돌기가 10개쯤 있다.

꽃은 6월부터 9월초까지 연녹색으로 산방형으로 개체에 따라 많은 차이가 나고 암꽃과 수꽃이

따로 피며 꽃잎은 5장, 암술머리는 3갈래로 나누어져 핀다. 열매는 초록빛이 도는 갈색이나

익으면 벌어져 검은색 씨들이 밖으로 나오며 성숙은 9월중순부터 10월하순 까지 이루어 진다
 
산초는 초피(제피) 나무와 생김새가 비슷하여 구분하가 매우 힘들다. 산초는 잎이나 열매 줄기를 

깨물어서 조금 있다 쏘는 맛이 없는 것이 특징이며 산초 열매의 껍질을 천초라고도 한다.

향신료로는 덜 익은 파란 열매를 따서 쓰기도 하지만 약용은 열매가 익어 갈라질 무렵에 채취한다.

건위, 정장. 구충 해독작용이 있으므로 소화불량,식체,위하수,위확장,구토,이질,설사, 기침,

회충구제 등에 쓰인다.

 

또한 매운 맛을 내는 성분 산시올(sanshol) 성분에는 국소 마취 작용이 있어 살충 효과까지 

겸하며 생선 독에 중독  되었을 때는 해독제로 이용된다. 산초나무는 암수 한나무로서

어떤 나무에서도 열매가 달릴 수 있다.

산초는 민간요법으로 열매나 나무껍질,잎을 말려 가루내어 밀가루와 초(酢)로 반죽하여 튼튼한 

종이나 헝겁에 펴 바르면 유선염과 종기, 타박상에 좋으며 치질에는 산초의 어느부분 이든지

달인물로 씻으면 효과가 있고, 뿌리는 불에 태워 소말(燒末)로 하여 쓰기도 한다.

달인물을 마시면 두통과 기침을 멈추게 하며, 입에 물고 있으면 충치의 아픔도 멈춘다.
한방에서는 탕(湯)을 끓이거나 욕탕에 넣어 사지슬통(四肢膝通)을 제거 하는데 쓰이고,

풍한습비(風寒濕痺)에도 좋으며, 또한 온성인 자극성 살균제 이며 건위, 구풍,해응(解凝),

이뇨작용이 있다고 하며, 열매, 나무껍질, 잎 등을 달여 찌꺼기를 제거하고 더욱 졸여,

엿같이 만든다음, 이것을 작은 티스푼 으로 1일 3회 복용하면 부종에도 효과가

있다고 한다.

산초는 티트로네 로올을 주성분으로 하는 산초류와 산숄 이라는 매운성분의 디펜텐, 

페란드렌, 계라니등의 방향성 정유물질이 많이 함유하고 있어 방향성 건위약 으로도

쓰이며, 식욕증진, 지사제, 불면증, 등에 좋고 여름에 더위먹은데 효과가 있다.

산초는 눈을 맑게하고, 눈의 피로를 풀어주며 냉증 또는 피로하기 쉬운 체질에 좋다. 특히, 산초유

(기름)는 폐에 좋은 약제이다. 담배나 오염된 공기로 인한 질병으로 부터 기관지를 보호하고, 천식을

다스리며, 가래를 삭혀주고, 몸이 붓는 부종 등의 부기를 빼주며 복수가 찼을때에도 효과적이다.

또한, 신(身)이 허해서 나타나는 이명(耳鳴) 에도 좋으며, 노안으로 시력이 떨어지는 것을 예방

해 준다. 봄에 새 잎(순)은 국에 넣어 먹기도 하며, 씨를 빻아서 민물고기국의 향미료로도 쓴다.

 

◈ 민간요법에서 활용하는 산초의 효능.효과

▶ 결막염 : 말린 산초 열매를 하루에 20개 정도씩 세 번 복용한다.
▶ 옻이 올랐을때 : 산초 잎 달인 물로 목욕을 하면 잘 낫는다고 전해진다.
▶ 기생충 : 말린 산초 2g에 200㏄의 물에 달여 마시거나, 말린 것을 가루로 빻아 복용한다.
▶ 눈 다래끼 : 익은 산초 열매를 햇볕에 바싹 말려 두었다가 하루에 세 번 20알 정도씩 먹는다.
    혹은 으깬 밥으로 덜 익은 산초를 싸서 따뜻한 물과 먹는다. 눈의 통증을 가라앉히고 염증을

    진정시켜 주는 작용이 있어 눈에 아주 효과적이다.
▶ 생리불순 : 산초 열매 5g에 물 세 컵을 붓고 달인 다음 마시면 효과를 볼 수 있다.
▶ 딸꾹질 : 뿌리 껍질을 76퍼센트 알콜에 48시간 우려내어 딸꾹질이 날 때 2~4밀리리터씩 먹는다.
               10회 정도 반복하면 거의 멈춘다.
▶ 기관지 천식 : 뿌리 껍질을 76퍼센트 알콜에 48시간 우려내고 차조기 잎 20그램을 다려 2~3회

    나누어 마신다. 손발이 찬 것이 없어지고 밥맛이 좋아지며 기관지 천식과 기침에 효험이 있다.
▶ 음낭이 붓고 아프면서 가려울 때 : 산초나무 열매(약간 볶은 것) 40g, 다시마 20g을 가루 내어

    술로 쑨 풀에 반죽하여 한 알의 질량이 0.15g 되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10알씩 하루 3번

    더운 물로 먹는다.
▶ 치통 : 산초, 말벌집(노봉방)을 각각 같은 양을 가루 내어 한번에 8g씩 소금 한 숟가락을 넣고

            물에 달여 하루 5-6번 입가심한다. 이 약은 진통작용과 소염작용을 한다.
▶ 십이지장충 : 매화열매(오매), 산초를 각각 15g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쌀가루를 적당량 넣어

반죽한 다음 한 알의 질량이 0.5g 되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6-12알씩 먹는다. 조피열매의

정유와 산쇼올 1 및 산쇼올 2는 회충을 죽이는 작용과 십이지장충을 죽이는 작용이 있다.
▶ 견비통(어깨가 결리는 통증) : 산초를 가루로 만들어 밀가루와 갠 다음 환부에 붙이는데

    하루 2번 갈아 붙이면 특히 효과가 좋다.

▶ 급성위염(체기) : 보리길금200g, 산초열매 40g, 건강 120g을 함께 가루 내어 한번에 6-8g씩

    하루 3-4번 끼니 뒤에 미음에 타서 먹는다. 음식을 먹고 바로 자거나 음식을 지나치게 많이

    먹어서 소화가 안 되고 헛배가 부르고 아프며 팔다리가 나른하고 숨이 가쁜 데 쓴다.

 

※ 주의사항 : 몸에 열이 많고 오후가 되어 얼굴과 머리 위로 열이 달아오르는 사람이 먹어서는

                 좋지 않고 특히 임신부는 주의해서 사용해야 한다.

 

◈ 현대 의학.영양학적으로 분석한 산초의 각종 특허들..


▶ 산초를 이용한 과메기 제조방법 (공고번호 2007.10.04)
본 발명은 과메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통상의 과메기 제조과정에 있어서, 에탄올을 이용한

산초 추출물을 1%에탄올 수용액 1ℓ에 대하여 0.2-0.6g첨가하여 혼합한 혼합액을 과메기 표면에

분사 혹은 침지의 방법으로 처리한 후 수분함량이 30-40%가 될 때까지 건조시키는 과메기

제조 방법을 제공하여, 과메기의 보존기간이 길어지도록 하는 데 있다

 

▶ Vibrio parahaemoiyticus에 대한 산초 추출물의 항균활성(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산초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일본, 중국 등지 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전통적으로 우리 정서에

친숙한 식미와 향기를 가지는 아시아권의 공통적인 향신료이다. 더불어 우리나라에서는 생선회와

어패류의 소비가 증가함에 따라 Vibrio parahaemolyticus에 의한 식중독발생 억제방안의 확립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독성이 없는 새로운 천연 식품 보존제의 개발을 위하여 식품

및 향신료로서 적용 범위가 광범위한 산초를 대상으로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한 천연

항균제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산초나무 추출물의 항균작용을 알아보기 위해서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한 항균력 분석에서 종자를 제외한 성분으로 제조한 산초의 주정추출물이

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확인하였으며, 이 추출물의 온도 및 pH에 대한 안정성을 검토한 결과 다양한

범위의 온도, pH에 대해서 매우 안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또한 GC-MS에 의한 산초 추출물의

분리, 동정 결과에서는 estragole이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주성분임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에서 많이 사용되는 산초를 Vibrio parahaemolyticus에 의한 식중독을 줄일 수 있는 항균제로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식품첨가제 및 포장재, 식품포장 외부 충진 물질, 살균소독
제 등의 다양한 형태로의 응용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 산초(Zanthoxylum Schinifolium) 뿌리, 줄기 및 잎 추출물의 항산화,
DDPH Radical 소거 작용 및 항혈전 효과(한국영양학회지 제38권 5호)본 논문은 산초뿌리, 줄기및 잎

추출물의 항산화, DPPH radical 소거 작용 및 항혈전 효과를 연구한 논문으로 산초의 뿌리, 줄기 및

잎의 다양한 추출을 얻어 1,000 mg/mL의 농도에서 흰쥐 간 microsome 을 이용한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 DPPH radical 소거 작용 및 항혈전작용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산초나무의 뿌리, 줄기 및 잎의

분획별 추출물의 지질과산화 억제작용과 분획별 APTT 활성,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부위별로

측정하여 산초뿌리, 줄기 및 잎의 추출물의 우수한 생리적 작용을 검증한 연구내용이다.

▶ 산초의 휘발성 향미성분 분석 및 향신료로서의 관능적 평가(한국조리과학회지 제16권3호 216-220 )
건조된 산초 열매의 정유를 초임계유체추출법으로 추출한 후 GC/MS로 분석간 결과 탄화수소류 6종,

알데히드류 4종, 알코올류 8종, 산류 4종, 에스터류 5종 및 기타 3종을 포함한 30가지의 휘발성 향미

성분이 확인되었다.가장 많이 함유된 성분은 geranyl acetate로 23.90%를 차지하였고, β-phellandrene

8.06%, D-limoenene 4.61% 및 citronellal 4.00%이었다. 산초가루가 누린내 및 비린내의 억제에 미치는

효과를 관능검사하였다.

돼지고기대조군, 후추 0.1%첨가군 깆 산초첨가군의 누린내를 평가하였을 때, 산초 0.05%, 0.1% 및 

0.2%첨가군이 돼지고기대조군과 후추 0.1%첨가군에 비하여 누린내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닭고기의 누린내 제거효과에서는 닭고기대조군에 비하여 후추 0.1%첨가군과 산초 0.05% 0.1%및

0.2%첨가군 모두 누린내가 유의적으로 낮게 평가되었다. 산초가루가 생선의 비린내 제거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후추 0.1%첨가군과 산초 0.1% 및 0.2%첨가군의 비린내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따라서 돼지고기에 0.05%의 산초를 첨가하면 산초의 아린 맛과 특유한 향기가 없는 상태에서

효과적으로 누린내를 제거할 수 있으며, 산초의 특유한 향기와 아린 맛을 즐길수 있는 사람은

닭의 누린내 제거에 산초를 0.05% 사용할 수 있고, 산초 0.1%를 고등어에 첨가하면 비린내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고 여겨진다.

▶ 산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위생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출원중)
본 발명은 구강위생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입수가 용이한

산초나무 (Zanthoxylum schinifolium)의 열매인 산초 (山椒)의 추출물을 0.01 내지 5 중량%

함유하는 구강위생용 조성물 및 수세, 에탄올 등 용매 추출, 여과, 용매 제거, 첨가 등의 단계로

이루어진 상기 구강위생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항생제에 대한

내성균 및 부작용 발생, 치아 착색, 공급량 한정, 품질의 불균일성, 재현성 저하 등 기존 발명의

단점을 극복하고, 입수 용이, 치태형성 억제,염증 완화의 측면에 있어서 유리한 장점이 있다.

나아가, 구취제거 효과 역시 뛰어난 장점 또한 가지고 있다.

(이상 산초나무에 대한 자료들이다.)

▒ 초피(제피)나무에 대하여..


◈ 초피(椒皮)나무 [Zanthoxylum piperitum ] [운향과(芸香科 Rutaceae)에 속하는 낙엽관목]

초피는 제피(경상도), 젠피(전라도), 조피(이북), 지피, 남추, 진초등으로 불린다.초피나무는 해발

1000m 아래 남쪽지방에 주로 많이 분포하고 중부내륙지방에서는 볼수 없으나 해안을 따라서는

중부지방까지 올라온다.


향신료로 쓰이는 것이 초피나무이고 초피는 봄에 꽃이 피는데 잔 잎이 9-11개로 1~3cm크기의

잎가에 파상 거치가 있고 잎 중앙부에 연한 황록색의 무늬가 있고 엽액 밑으로 굽은 가시가

대생 하고 있으며 잎이나 열매의 향기가 좋다.

초피나무는 톡 쏘는 매운 맛과 상쾌하고 시원한 맛 때문에 향신료로 이용하며 추어탕, 

민물고기 요리에는 비린내 제거를 위해 초피가루가 필수적으로 들어간다.

 

초피는 음식의 맛을 나게하고 채소의 풋냄새와 민물고기.생선의 비린내. 육류의 누린내 등 기타 

잡냄새를 없애고 입맛을 개운하게 하여 소화작용을 돕고 각종 질병 을 예방치료하는 약효가

있어 한방과 민간약으로 많이 사용했다.

 

또한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면 위와 같은 효과외에 산패방지 효과가 우수하여 김치에 넣으면

빨리 시지 않아 신선한 맛을 오래 즐길 수 있다. 초피는 잎이나 열매 줄기를 깨물어서 조금

있다 쏘는 맛이 있는 것은 초피이다.

초피(제피;남쪽지방에 분포하고 중부내륙에서는 보기 힘듬) 가지는 마주나기 때문에쉽게

구별할 수 있으며 꽃은 봄에 피우기 때문에 더욱 산초와는 구별된다.

 


초피나무는 가지에 달리는 가시가 마주나고 잎가장자리의 톱니수가 3~5개 정도로 산초보다

적고 꽃잎이 없으며 또한 열매가 붉은빛이 도는 갈색으로 익는점에서 산초나무와 다르다.

산초(분디)나무와 초피나무가 아주 비슷해서 알아보기 어렵다고 했는데, 쉽게 구별하는

방법이 있다. 잎이 나 있을 때는 그 잎을 따서 입에 넣어보면 된다. 산초는 산초만 가지고

있는 독특한 냄새가 날 뿐이지만, 초피는 맵고 톡 쏘는 맛이 난다. 그리고 열매가 맺었을

때는 그 열매를 맛보아도 그렇다.

만약 겨울이나 이른봄이 되어 잎도 열매도 없을 때는 가지에 돋아나 있는 작은 가시를 살펴 볼

일이다. 산초나무는 가시가 하나씩 어긋나 있지만, 초피나무는 두 개씩 마주 나 있다.

 

◈ 모기 물리치는 산초, 초피나무
예전에 시골 마을에서는 모기를 쫓느라고 멍석을 깔고 누워 쑥 연기를 피우는 것이 아니라

마당 옆에 있는 산초.초피나무 아래 자리를 깔고 누워 있기만 하면 되었다. 모기를 없애려고 

살충제를 마구 뿌리는 것이 아니라 마당을 빙 둘러 산초, 초피나무를 심었다.

산초. 초피나무는 보기에도 아름답고 열매는 양념으로 훌륭하며 잎이나 덜 익은 열매로 

장아찌를 담가 먹으며 열매를 따서 팔면 높은 수입을 얻을 수도 있으니 일석삼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나무라 할 만하다.

초피나무와 닮은 것으로 산초나무가 있는데 일본인들이 초피나무를 산초나무로 부르기

시작하면서 이제는 산초가 국제 통용어가 되어버렸다. 미국의 뉴욕과 로스앤젤레스를

돌아다녀 보면 미국 사람들이 커피에 초피 가루(산초는 아님)를 넣어 마시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프랑스에서는 초피를 원료로 하여 새로운 향신료를 개발하여 큰 인기를 얻고 있다.

또 남미의 여러 나라에서도 초피를 즐겨 먹고 있다.

 

일본에서는 천만 평이 넘는 땅에 초피나무를 재배하여 초피 가루를 미국과 유럽으로 수출하여

큰 소득을 얻고 있다. 일본은 우리나라의 초피 열매를 수입해서 가공한 후 다시 역수출하고

있기까지 하다.

우리나라 남부지방은 초피를 재배하기에 세계에서 가장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

초피를 연구하는 학자들은 한결같이 한국 지리산 부근에서 나는 초피가 향기가 제일

강하고 품질이 가장 좋은 것으로 꼽고 있다.

 

그런데도 우리나라에서는 논밭둑이나 길 주변에 자라는 산초.초피나무를 귀찮다고 베어 내는

형편이다. 산초.초피나무의 열매는 추어탕을 먹거나 회를 먹을 때 향신료 로도 인기가 있다.

시골에서는 산초.초피나무 껍질을 벗겨 생선을 잡는 데에도 쓴다.
산초.초피나무 껍질을 벗겨 돌로 짓찧어 개울물에 풀면 물고기들이 배를 하얗게 

뒤집고 물 위에 떠오른다.

산초, 초피나무의 매운 성분과 향기는 사람한테는 거의 독성이 없지만 모기, 파리 같은

곤충이나 생선, 돼지, 오리 같은 동물에게는 독성이 몹시 센 편이다. 초피나무에는

매우 강력한 항균 물질이 들어 있는 것으로 학자들은 믿고 있다. 큼큼~

 

◈ 아래의 사진은 산초와 초피를 구분하는 자료로 활용하시길..^(^

▲ 산초나무임돠~! 가시가 어긋 나 있죠.

 

▲ 초피나무임돠~! 가시가 평행으로 나 있죠.

 

큼큼~ 이상으로 산초와 초피에 대하여 효능, 효과및 구분 방법까지 미주알 고주알 알려 드렸으니
가을산행 때(9~10월) 적당히 채취하여 건강에 도움받으시기 바람돠~! ㅋㅋ~

2009/07/11 - 휘뚜루 -


Dana Dragomir / Chiquitita

옛 자료를 인터넷에서 찾아 다시 복원하다.(2021/1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