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TBC 팩트체크" 에어컨 전기료 아끼려면..계속 틀어야..? 껐다 켜야..?
[앵커]
일찍 찾아온 습하고 더운 날씨 때문에 집집마다 에어컨 켜면서도 전기요금이 걱정이실 텐데요.
조금이라도 요금을 아끼려면 계속 켜두는게 나은지, 아니면 껐다켰다 하는게 좋은지 헷갈립니다.
지금부터 팩트체크 이지은 기자가 자세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이지은 기자, 둘 중에 뭐가 맞습니까..?
[기자]
맞기도 하고, 틀리기도 합니다. 에어컨 종류가 뭐냐에 따라 절전 사용법이 다르기 때문인데요.
우선 대략 5년 내에 구입하셨다면, 인버터형 에어컨일 가능성이 큽니다.
이 경우엔 계속 틀어놓는 게 낫습니다.
에어컨 전기료 자체가 실외기를 얼마나 어떻게 돌리느냐에 비례해서 뛰는 건데요,
인버터형의 경우엔 이 실외기 운영을 알아서 최소화해주기 때문입니다.
[앵커]
같은 시간을 틀 거면 계속 틀어놓는 게 낫다는 거예요..?
[기자]
네. 저희가 실내 온도가 30도인 가정에서 인버터 에어컨의 희망 온도를 26도로 설정한 뒤예요.
이후 6시간 동안 계속 켜놓고 전력 소모량을 확인해봤습니다.
처음에 희망 온도까지 온도를 떨어뜨릴 땐 전력 소모량이 상당히 컸습니다.
그런데 한번 떨어지고 나자, 그걸 유지하는 동안의 소모량은 낮았습니다.
시간은 6배 가까이 되는데, 전력은 2.3배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3시간을 틀었을 땐 시간당 0.61kW를 쓴 게 되지만, 6시간째 트니까 시간당 0.51kW를
쓴 걸로 확인됐습니다. 계속 켜두는 게 에너지 효율이 더 좋은 겁니다.
그러니까 에어컨을 틀겠다고 마음먹었으면, 그 시간 내내 그냥 켜두는 게 좋습니다.
[앵커]
그러면 정속형의 경우는 어떻습니까, 또 다릅니까..?
[기자]
정속형은 계속해서 실외기를 풀파워로 가동합니다.
실내 온도가 희망 온도에 이르면 실외기가 멈춰버리고요.
그리고 또 온도가 올라가면 실외기를 전력으로 가동합니다.
그러니까 당연히 효율이 낮을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전문가들은 꺼졌다 켜질 때 부하가 더 걸리는 걸 감안하더라도,
중간중간 실외기를 멈춰주는 게 그나마 전기를 아낄 수 있는 길이라고 조언했습니다.
[앵커]
그러면 "정속형은 두 시간마다 껐다 켰다 해라", 이 얘기도 맞는 건가요..?
[기자]
네. 적당히 껐다 켰다는 맞는데, 2시간마다는 아닙니다.
전문가들은 "집집마다 공간이나 단열상태가 다 다르기 때문에
무조건 2시간마다 하는 건 맞지 않다"고 했습니다.
대신 "단열에 신경을 많이 쓰면서 온도가 유지되는 타이밍을 잘 찾아서
중간중간 가동을 멈춰주라"고 조언했습니다.
[앵커]
정리하면, 인버터형은 한 번 켰으면 쭉 켜는 게 좋고,
정속형은 껐다 켰다 해주는 게 낫지만 덜 트는 게 좋다, 이런 거죠..?
[기자]
네. 관련 논문을 찾아봤는데요.
8월 한 달, 에어컨을 같은 희망 온도로 틀었다고 가정했을 때,
인버터형이 정속형보다 40%나 전력을 아낄 수 있는 걸로 확인됐습니다.
[앵커]
우리 집에 있는 에어컨이 어떤 종류의 에어컨인지는 어떻게 알 수 있습니까..?
[기자]
네. 보통 인버터형은 '인버터'라고 쓰여있는 경우가 많은데요, 그런 게 없다면,
에어컨이나 실외기에 부착돼있는 이런 스티커를 찾으면 됩니다.
냉방 능력이나 소비 전력 옆에 이렇게 최소·중간·정격으로 숫자가 나뉘어 표기돼 있다면
인버터형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앵커]
그렇지 않으면 정속형으로 보면 되겠군요. 잘 들었습니다.
팩트체크 이지은 기자였습니다.
자료출처 / JTBC에서..
2022/08/21 - 휘뚜루 -
'동영상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상에서 가장 아담한 암자..연암토굴 / 벼랑끝의 암자 (0) | 2022.12.18 |
---|---|
무아지송(無我之松) (0) | 2022.11.21 |
정호근이 직접 제작진에게 섭외 요청한 소리꾼 이희문 (0) | 2022.08.07 |
뱀 물렸을때 응급처치법 (0) | 2022.08.02 |
도올 김용옥 동경대전109 동영상 (0) | 2022.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