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괴불주머니(멜라초)에 대하여..
요줌 먼산에 가면 가장 먼저 여린 새싹을 내밀고 있는 야생초가 있다. 이름하여 산괴불주머니풀
이라고 하는데 이명으로는 산뿔꽃, 암괴불주머니, 조선괴불주머니, 멜라초라고 부르고 있다.
분류로는 양귀비목 현호색과로 원산지는 아시아(중국,대한민국,일본)이다.
서식지로는 주로 습한 산지에서 약 50cm 정도 자라고 꽃말은 보물주머니이고
용도로는 무침용, 볶음용, 약용 등으로 사용한다.
산괴불주머니(멜라초)는 쌍떡잎식물강 양귀비목 현호색과에 속하는 속씨식물. 학명은 ‘Corydalis
speciosa’이다. 본래 괴불주머니는 다섯 가지 색의 비단 조각을 이어 붙여 그 위에 다양한 모양의
수를 놓아 만든 노리개를 뜻하는데, 이 식물의 꽃이 모여서 피어나고 그 생김새가 독특할 뿐 아니
라 열매는 잘록하게 들어간 모양새를 하고있어 ‘산에 사는 괴불주머니’라는 뜻으로 산괴불주머니
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추측된다.
키는 50cm 정도로, 줄기는 겉은 전체적으로 흰 빛을 띠고 속은 비어 있으며 뿌리는 밑으로 곧게
뻗는다. 잎은 길이 10~15cm, 폭 4~6cm 정도로 어긋나며 깃털처럼 갈라져 있다. 꽃은 이삭 모양
으로 노랗게 줄기 끝에 15~20송이 정도 무리 지어 피는데, 꽃이 벌어진 반대쪽에 거가 달린다.
열매는 크기가 2~3cm쯤 되는 삭과로 콩꼬투리처럼 움푹 패어 있으며 씨는 검정색에 둥근
모양이다.
꽃은 이른 봄부터 이른 여름에 걸쳐 핀다. 원산지는 중국과 한국, 일본이며, 동부 시베리아 등에도
분포한다. 한국에서는 전국의 습한 산지에서 발견할 수 있다. 2년생 식물로, 산지에서 가장 잘
자란다. 햇빛을 좋아하기 때문에 충분한 태양광을 필요로 하며, 물이 잘 빠지고 부식물이 많은
땅에서 생장률이 좋다. 번식할 때에는 초여름에 종자를 채취해서 바로 심으면 늦여름에서
초가을 사이에 발아하고, 그 다음해 봄에 꽃이 피어난다.
산괴불주머니와 유사한 종으로는 왜현호색(C. ambigua Cham. et Schlechtend.)과 현호색(C. turt
schaninovii Bess.)이 있다. 이들은 꽃의 색을 제외하고는 거의 모든 면에서 비슷하며, 왜현호색은
파란색, 현호색은 연한 자주색 꽃이 피어난다. 이 밖에 현호색과에 속하는 식물속은 줄꽃주머니속
((Adlumia) Raf. ex DC.), 금낭화속((Dicentra) Bernh.), 푸마리아속((Fumaria) L.) 등이 있다.
꽃의 색이 아름답고 환경을 가리지 않고 생장률이 높아 관상을 위해 가로변이나 화단에 심기도
하고, 땅을 덮는 지피식물로 이용하기도 한다. 이 밖에 식용과 약재로도 사용된다. 약용으로는
해열에 탁월한 효능을 가진다. 염증이나 통증을 없애는 데에도 도움이 되고, 체내의 독소를
제거하고 붓기를 빼는 데에도 효과가 있다. 종기가 나거나 피부염이 생겼을 때에도 좋다.
눈이 시릴 때에도 효과가 있다.
조리법으로는 산괴불주머니는 식용으로도 이용할 수 있지만 특정 지방에서만 어린 순을 이용해
나물로 섭취할 뿐 일반적으로는 독성이 있어 잘 사용하지 않고, 함부로 손질하여 먹어서는 안된다.
약재로 쓸 때에는 뿌리를 말려 사용한다.
▶ 멜라초(산괴불주머니) 효능 및 섭취방법
사실 이름이나 생김새 모든 부분에 있어서 굉장히 생소하게 느껴지다보니 멜라초 효능을 잘 모르는
분드이 많은데 실제로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을 보더라도 가슴에 통증을 느끼고 불면증에 힘들어
하던 세조가 해당 약초를 넣은 탕약을 먹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멜라초 효능으로는 뇌경색, 중풍의 원인을 없애고 있다. 보통 이런 질환의 원인으로는 어혈이라
불리고 있는데 어혈제거에 효율적인 도움을 볼 수 있다. 중풍 때문에 생기는 여러가지 증세는
물론 후유증을 케어하느데 멜라초를 통한 도움이 상당히 좋다. 보통 주성분이 코리 달린 이라고
불리는 알칼로이드 성분이다.
알카로이드 성분을 통해 위액이 분비되는 것을 억제하며 항궤양 작용을 통하여 중추석 진통작용
으로 복통이나 관절통 그리고 생리통까지 줄여주는 데 도움된다.
그렇기 때문에 관절연을 앓고 있는 분들이 있을 경우 멜라초를 통해 충분히 도움받아 볼 수 있다.
멜라초는 아편을 기준으로 1/100 정도 수ㅜㄴ으로 진총효과를 볼 수 있다. 진통제로써 사양해주는
모습을 다양하게 봉 수 있다.
먹는방법은 의외로 간단하며 나물로 무쳐 먹는 경우도 있고 즙으로 가공하여 성분을 충족해 주기
도 한다. 나물로 무처 먹을 경우에는 된장, 고추장, 마늘 같은 일반 나물을 머무릴 때 넣는 얀념을
넣고 먹어도 되며, 이때 참기름 대신 들기름을 사용하여 멜라초 영양 흡수를 도움 받을 수 있다.
요즘은 쥬스로 만들어 먹는 경우도 있는데 신경안정 효과가 있는 등 여러가지 효능을 기대해볼
수 있기 때문에 건강상 도움을 받고자 섭취해시기 바란다. 즙을 만들 경우에는 삶은 상태에 물에
찬 물에 불린 후에 요구르트 등을 널고 갈아 주면된다. 생으로 넣어도 되지않을까 생각도 들지만
특유의 독성과 쓴맛이 있기 때문에 삶은 후에 찬 물에 1~2 시간 불린 상태에서 사용해야 한다.
좋은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하더라도 독성이나 부작용에 대한 걱정이 있기에 올바른 방법을
통해 섭취해 보는 것을 추천한다. 이상 멜라초 효능과 섭취방법에 대하여 알아 보았다.
2022/03/20 - 휘뚜루 -
'산야초에 관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비한 사람, 존경, 기별의 꽃말을 가진 각시붓꽃 (0) | 2022.04.30 |
---|---|
동백(冬柏)꽃의 전설과 꽃말에 대하여.. (0) | 2022.03.23 |
벽오동, 개오동, 오동나무 비교 (0) | 2022.03.09 |
이름도 요란한 꽝꽝나무(犬黃楊)에 대하여.. (0) | 2022.02.20 |
해로운 동물이나 벌레를 쫓는 토종약초 여섯가지 (0) | 2022.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