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야초에 관한

산삼의 감정방법에 대하여..

by 휘뚜루50 2022. 6. 23.

자연의 소리 (Sounds of nature)- 계곡의 물소리, 새소리(3시간)클릭하여 듣기

▒ 산삼의 감정방법에 대하여..


산삼의 감정은 많은 삼을 취급한 경험과 오래동안 전문적인 학습을 통하여 알 수 있으며, 여러 
산삼감정 전문가가 인정하는 결과물이 올바른 감정이라 말할 수 있다. 경험과 학술적 자료를 
간략하게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으니 참조하여 좋은 삼을 선택하시기 바란다.

1. 眞僞감정.
2. 원산지감정.
3. 蔘齡감정.
4. 삼의質감정.
5. 감정가 측정으로 크게 구분한다.

 

▲ 眞 僞  감 정
산삼 ,장뇌삼, 인삼 아니면 다른 약초인가. 진위를 감정한다.

가. 원산지 감정

1 수입산
1) 미국산.캐나다산...몸통이 미끈하며, 원추형이며 여러개 몸통을 갖고.뇌두 수가 유난이 많거나
발달 해 있다. 맛과 향이 많이 부족하고 건조상태로 유통되거나, 생삼으로 반입된 것도 있으나 
약효는 국내산과 비교 할 수 없다.

2) 중국산, 북한산(백두산)...표피가 검고 거칠다. 횡취가 유난히 몸전체에 발달해 있다. 턱수가 
많거나, 턱수발달이 일정한 방향성없이 아주 발달하며, 뇌두 또한 길고 크며 모양으로 보아 
국내삼에 비교해 우수한 삼으로 보이나 실제 맛을 보면 쓰거나, 향이 부족하고 약효도 떨어
진다.

 2 국내산
1) 중부, 남부지방...미(尾)의 발달이 상대적으로 미약하고, 體의 형태도 약하며 볼품은 없으나 
색이 진황색의 구리빛으로 은단과 같이 향이 강하고 오래 동안 입속에서 머문다. 약간의 쓴
맛후 강한 단맛을느낀다. 약효가 우수하고 최고의 삼으로 백제삼, 신라삼이 여기에 포함된다.

2) 중부이북, 강원도...미(尾)의 발달이 우수하고 길며, 몸체, 횡취도 잘 발달하여 모양새가 좋다.
색상은 검은색을 약간 띠며, 천체적으로 자태가 유유하고 크다. 맛과 향이 좋으며 약효도 
우수하다.

 

나. 蔘齡(산삼 나이)의 감정

1. 腦頭
뇌두의 수, 길이, 뇌두가 몸속에 유입, 뇌두의 비대화로 함몰뇌두, 겹친뇌두의구분, 원로의 발달
유무, 원로의 길이, 휴면기간의 뇌두갈이를 고려하여 종합적 판단이 필요함. (즉, 100년된 삼은 
뇌두가 100개 여야 정확한 나이이나 최소한 80개이상이 되어야 100년된 삼으로 추정할 수 
있을 것이다.) 

원로가 발달하여 실오라기 처럼 촘촘이 싸여 완전한 상태에서 전문가들은 원로 1cm길이를 
15년에서 20년 정도로 추정한다. 원로의 길이가 12-15cm일 경우 아주 오래된 삼으로 판단
하며 턱수가 발달하여 제 2몸통, 제 3몸통까지 완전이 형성된 경우에는 100년 넘는 삼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삼을 '양의 뿔'처럼 생겨서 양각삼(羊角蔘 )이라 한다. 그러나 중국
북부 장백(백두산)일대, 러시아지역에서 나오는 양각삼은 성장이 빠르기 때문에 우리의 것에 
비해 오래된 것으로 여기지 않는다. 

 

2. 體(약통)
일반적으로 양질의 삼은 성장속도가 매우 느리다. 저질의 삼일수록 몸체가 크고 비대하며 빨리 
성장한다. 몸이 크다고 해서 오래된 삼은 아니다. 자생지 조건 등 여러가지 상황을 고려하여 
판단한다. 나이가 많을수록 섬유질화되어 야무지고 탄력이 있으며 황금색으로 변해간다. 
반대로 어릴수록 색이 희고 무르고 수분이 많다.

가락지(횡취) 또한 오래될수록 많아진다. 반드시 가락지가 많다고 오래된 삼은 아니며 우수한 
삼이라 말할 수 없다. 중국, 북한(백두산), 강원도 고지대에서 자란삼은 가락지의 발달이 비교적 
중부, 남부지방 보다 잘 발달되어 있다.

 

3. 尾(미)
나이가 많아질수록 길이는 길게 발달하고 거칠고 질기며 탄력이 있어 잘 끊어지지 않고 

연하고 흰 잔뿌리는 사라지고 옥주가 발달한다.

4. 기타
잎...양질의 산삼일수록 잎은 작고 연한녹색이며 잎 전체에 잔가시가 선명하게 형성된다. 저질의 
삼은 일반적으로 잎이 나이에 비하여 크고 많으며 진한녹색이며 잔가시가 없거나 작다.

줄기...일반적으로 양질의 삼은 줄기는 가늘고 짧으며 연한자색을 띠고 있으며
저질의 삼일수록 굵고 키가크며 검고 짙은 자색을 띤다.

가지수...산삼은 2-4년 정도에는 2장의 잎(2행)이, 6년이 지나야 5개의 잎(오행, 1구)을 가진다.
2구(6-12년), 3구(10-30년)..정도이며(양질의 우수산삼일 경우에 해당), 일부 심마니는 4구는 80년, 
5구는 100년, 6구는 120년, 6구쌍대는150년 등으로 추정하는 위험한 발상하고 있어 조심해야 
하며, 늘 강조 하지만 잎이 달린 가지수는 연령을 알 수 있는 참고사항이며, 양질의 삼을 판단
하는데 도움되는 기초자료일 뿐이다. 채심된 야생산삼의 경우, 인삼종에 가까울수록 성장이 
빨라 15년 전후로도 4구, 5구, 6구만달이 형성되기 때문에 삼령을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 없다.

딸(열매)...양질의 삼일수록 딸의 크기가 작고, 열매 갯수도 적다. 딸이 열리는 높이가 잎의 길이
에 비하여 매우 낮으며 불과 2cm 이내에 열리는 것도 있다. 일반적으로 저급의 삼은 딸의 수가 
많고 크며, 잎 길이보다 높이 열리며 빨리 익고 떨어진다.

 

다. 蔘의質 감정

산삼의 기본적인 품질평가시 1.은 頭요  2.는 尾  3.은 體  4.는 色  5.는 맛과 香이고 
기타 옥주, 횡취, 잎, 가지수, 열매, 환경 등등이다.

1. 뇌두...뇌두는 가늘고 마디의 간격이 촘촘하고 많으며, 원로의 형태로 발전한 삼이 턱수가 발달
하고 제 2몸통,3,4,5...형태로 어미삼에서 2代,3, 4, 5..손자가 이어지는 양각연절삼(羊角連節蔘)의
경우 최고의 삼이된다. 이러한 삼은 우리나라에서 1년에 단 몇 뿌리 정도가 발견된다.
(1953년 소련 연해주에서 140개의 뇌두가 있는 산삼을 발견 뇌두길이 16cm 최소140년생)

2. 尾...뿌리는 몸통에 비해 가늘고 길며, 오래될수록 흰잔뿌리는 정리되고 긴뿌리 2-3가닥으로
정리되고 질기며 탄력이 있어 고무줄 같이 늘어나며 잘 끊어지지 않는다. 오래된 삼일수록 옥주
의 수가 많으며 이는 영양분을 흡수하는 부분으로 매년 떨어 지면서 나타난 좁쌀만한 크기의 
흔적이다. 비슷한 뿌리혹박테리아와는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심마니들은 옥주가 많은삼을 
우수한 것으로 평한다.

3. 體(약통)...횡취(흠절이 가락지를 낀모양으로 연속적으로 삼뿌리가 땅속으로 수축 하면서 파고
들때 생김)가 많은것, 수분이 적고 탄력이 있고 색이 황금색으로 무게가 많은것, 갈라짐, 터짐, 
해충, 들쥐, 지렁이등에 의해 상처가 없이 온전한것을 최고품으로..그리고 몸체의 무게가 한냥
(37.5g)이 넘거나 五指(약10cm)이상으로 자란것을 최고의 약통으로 한다.

 

4. 때깔(色)...심마니들은 때깔(색)을 강조한다. 잘 익은 삼은 숙도(熟到)에 따라 약성이 좋고 가격
이 높게 책정되기 때문이다. 홍윤원탄(紅潤圓綻)은 붉은색을 띠며 최고로 잘 익은 삼이다. 산삼
의 색은 황금빛이 좋다. 좋은 삼을 일명 황삼이라고도 한다. 황금색 성분은 최근 파낙센(panac
ene)으로 밝혀졌다. 파낙센의 색이 황색으로 황색유상물질로 이루어저 색이 황색이며 끈끈하다.
이물질은 혈관운동을 활발히 하고 호흡중추를 흥분시키는 약리작용을 한다. 우리 선조들은 
이러한 사실을 알고 있었고 황색의 삼을 우수품으로 취급하였다.

5. 맛과 香
산삼은 아무리 작은 뿌리를 씹어도 산삼의 향기는 온화하면서 강하고 향기로운 뒷맛이 남아 
호흡 할 때는 황홀감 마저도 느낀다. 약간의 쓴맛 뒤에 단맛이 오래가며, 은단맛 같은 강력한
맛이 날수록 좋은 삼이다. 저급의 삼일수록 쓴맛, 텁텁한맛, 싱겁고, 미약하다. 산삼을 방초(芳草)
라  하는 것도 이 향기성분 때문이다. 산삼은 生蔘으로 먹을 때 이같은 향기를 느낄 수 있어 
생삼으로 먹는 것이 가장 좋다고 한다. 다려 먹어면 향기성분이 휘발되어 버린다.

특유한 향기성분은 파낙센(panacene), 테루페노이드계의 여러가지 혼합성분, 인삼사포닌,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의 종류에 의해 나타난다. 확실히 질 좋은 산삼은 아주 가늘고 
작은 뿌리를 씹어먹어도 독특한 향기를 뿜으며 말할 수 없는 상쾌함을 느낀다. 이런 향기야
말로 산삼이 아니고서 맛 볼 수 없는 기막힌 맛이다.

 

라. 산삼의 채점 점수
산삼의 감정은 형태면에서 뇌두, 약통, 꼬리로 나누는 방법과 선두, 선체, 선미로 나누는 방법이 
있다.

1. 뇌       두 : 10점
산삼은 몸통에서 위로 잘록하면서 기린의 목같이 뻗어 독특한 형태를 하고 있다. 또 한줄기가 
고사한 흔적이 작고 가늘게 있으며 오래된 것은 뇌두 부분에 턱수라는 실같이 가는 뿌리가 있다.

2. 줄       기 : 10점
뇌두의 끝부분에서 하나가 위로 곧장 뻗어 오르게 되는데.. 8~9월에는 다른 한쪽 끝부분에서 
다음해에 돋아날 새싹이 생겨난다.

3. 뿌       리 : 20점
산삼의 뿌리는 콩과식물의 뿌리혹박테리아와 같은 모양의 혹이 좁쌀알 정도의 크기로 매달려
있다. 이 혹을 산삼연구가나 심마니들은 "옥주" 혹은 "선주"라 부르며 옥주를 손으로 만져보면 
깔깔한 감을 준다. 그러나 인삼은 옥주의 크기가 팥알 정도로 크며 만져보면 부드러운 촉감을 
준다. 산삼의 뿌리는 휘었다 놓으면 제자리로 복귀하는 힘, 즉 탄력성이 좋다 그러나 인삼은 
어느 정도 휘어지면 부러진다. 산삼의 뿌리는 가늘고 길게 땅속으로 수 m를 곧장 뻗어내려 
큰 것은 5~6자 정도된다.

4. 색       깔 : 10점
산삼의 색깔은 노란 황금색을 띤다. 그러나 산양삼, 장뇌는 색깔이 검고 푸른기가 돌며 윤택하지 
못하고 어두운 감을 준다.

 

5. 열       매 : 10점
산삼의 열매는 윤기가 돋보이고 인삼의 열매는 윤기가 적다.

6. 가  락  지 : 10점
산삼은 어린것이나 오래된 것을 막론하고 몸통 위쪽 부분에 가락지와 같은 둥근 모양의 삼테가
있고 삼테는 오래된 것일수록 굵고 뚜렸하다.

7. 촉       감 : 10점
산삼은 촉감이 피어나는 여성의 피부같이 부드러우며 탄력성이 있다.
인삼은 삼테가 없고 촉감이 딱딱하다.

8. 휴면기간 : 10점
산삼의 휴면기간은 3~8년이고 인삼은 1~3년의 휴면기간이 있다. 산삼은 칠구두루부치라 하여 
천년이상 생존하는 것이 있다고 하나, 인삼의 수명은 59년을 넘지 못한다.

9. 기      타 : 10점
사삼이나 도라지, 만삼등에 접붙이는 경우가 있으니 만져보면 차이가 있다. 산삼의 자생지는 
지형적으로 북쪽이 트이고 오가피나무가 자생하는 지역에 자생하는 특징 등이 있다.

 

마. 기타 (참고사항)

1. 산삼의 채취시기
1) 묘절-봄철 인삼의 발아기 수풀이 우거지기전에 사람의 눈에 잘 뜨인다.
2) 단절-여름 과실이 익어 붉을 때 채취한다.
3) 황절-가을 인삼잎이 누렇게 될 때 채취한다.

2. 산삼의 종류
1) 천종
① 깊은 산속에서 자생된 산삼을 말한다.
② 산삼 원종을 까마귀가 먹고 이동하여 적지에 배설한 것이며, 심지어 지종의 씨앗을 
까마귀가 먹고 적지에 배설한 것도 포함된다.

2) 지종
① 천종의 씨앗을 까마귀, 까치, 꿩 등의 새가 먹고 배설하여 자생하는 것을 말한다.
② 산삼의 원종이 그 자리에서 씨앗이 떨어져 자생한 것도 있다.

3) 인종
천종의 씨앗을 심마니가 따서 환경이 좋은 깊은 곳에 심어 놓은 것을 말한다.
종자채취 및 보관방법-초식동물의 피로 만든 장갑을 꼭 낀다음 채취하고 
보관도 초식동물의 피로 만든 자루나 피나무 내피로 만든 망대에 저장..


3. 이상의 분류외에 최근에는 까치의 번식이 늘고 인삼재배가 어느 지역이나 가능하게 됨에
따라 재배인삼의 씨앗을 까치가 먹고 배설하여 자생되는 산삼이 야산에서도 다량 자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명칭지정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또한 산림지역에 다량 재배하는 장뇌삼의 

분류도 연구 검토되어야 할 사항이다.(최근 장뇌산삼은 산양산삼으로 명칭을 통일하였다.)

4. 심마니들의 산삼분류법
1) 네잎 쌍대
2) 다섯잎 오엽초
3) 여섯잎 육엽
4) 구년묵이, 덥석부리, 독구두달린 것
5) 칠구두루부치

 

5. 산삼의 감정과 구분

1) 싹대엽 대엽으로 한 구분 (뿌리를 캐보기 전의 판정방법)

※ 심마니 용어 / 형태 / 추정년식 /  

▶ 한잎
 1구에 한잎
 1~2년
 초행, 초피
 
▶ 두잎
 1구에 두잎
 2~4년
 이행, 두피
 
▶ 세잎
 1구에 세잎
 3~7년
 삼행, 세피
 
▶ 네잎
 1구에 네잎
 4~10년
 사행
 
▶ 다섯잎
 1구에 다섯잎
 5~15년
 오행
 
▶ 1구오행
 1구마다 다섯잎
 5~15년
 일구 오행
 
▶ 2구오행
 1구마다 다섯잎
 10~30년
 이구 오행
 
▶ 3구오행
 1구마다 다섯잎
 20~30년
 삼구 오행

 

※ 심마니 용어 해설..

높은 곳에는 나오는 삼을 고삼이라 하고, 낮은 곳에서 나는 삼을 밭뚝삼이라 하며, 뿌리가 검은
것은 현삼, 붉은 것은 단삼, 진한 것은 진삼, 연한 것은 연삼, 새가 심은 것은 조복삼, 막 올라
오는 놈은 고패삼, 쪼매 더 올라 온 놈은 닭발삼이라고 한다.

그리고 1년 2년째되는 놈은 달랭이..3년째되는 놈은 재미기..4년째되는 놈은 재무기라고 한다.
삼을 캐는 사람은 심마니..심마니 대장은 어간머니..곡갱을 다른사람 햇갈리구로 마대라 하며..

3입은 삼행.. 5입은 오행.. 가지가 두개면 각구.. 3개면 삼구.. 4개면 사구.. 5개면 오구 쌍대..
6개면 육구 만달.. 7개면 칠구 두루부치.. 8개면 팔구 팔바라지.. 9개면 구구다리라 한다.

2) 꽃대에 의한 구별
① 천종삼은 꽃대의 길이가 짧아서 잎을 오므리면 꽃과 열매가 잎안에 들어올 정도이다.
② 천종삼은 꽃대가 가늘다.

3) 엽형과 거이에 의한 구별
① 천종삼의 엽은 짧고 넓으며, 결각이 크고 두드러진다.
이에 비하면 장뇌삼은 중간정도에 해당되며 인삼은 잎이 두껍고 결각이 적게 나타난다.
②산삼의 엽면의 가시는 작지만 희고 투명하다 가시가 많을수록 진삼이며 장뇌는 갈색의 
가시가 있으며 드문드문있다. 중국산이나 백두산장뇌는 연갈색의 가시가 있고 가시의 수는 
현저히 적다.

4) 몸통 색깔신축성 향기에 의한 구별
① 자연산은 가락지가 선명하고 누런색을 띠며 깨끗하다 반면 장뇌삼은 가락지가 없거나 
윗부분에 조금 있고 몸통이 매끄럽고 연한색을 띤다.
② 중국산과 북한산은 가락지가 거칠고 토실토실하고 회색을 띤다.
③ 진삼에 가까울수록 다당체의 양이 늘어나므로 향기가 진해진다.
조금만 씹어도 온입안에 향기가 가득하며 서너시간 지속될 정도이다.

※ 가락지란~?

① 봄부터 가을까지 수분을 흡수하고 성장하였던 동체가 동절기에 접어들면서 수분을 발산하고
수축하여 동면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생긴 나이테와 비슷한 것이다.
② 중북부이상의 추운지역이나 수분이 충분한 지역에서의 가락지는 크고 굵게 나타나며
건조한 지역에서는 거칠거칠하다.
③중부 내륙의 가락지는 가늘고 섬세하며 중부이남의 가락지는 없거나 주름이 있을 정도이다.

5) 턱수에 의한 구별
①몸통길이보다 길지 ?은 것이 천종이다. 길면 장뇌삼일 가능성이 있다.
②가늘고 길며 2몸통이나 3몸통으로 성장하지는 않는다.
③턱수가 몸통으로 변한 것은 장뇌삼이거나 이식삼일 가능성이 있다.

 

2011/10/02 - 휘뚜루 -

 

추신 : 몇일전 강원도 먼산에서 일생에 한번 만나기 힘든 '육구만달'을 만난 기념으로 지난

이천십일년도 "산삼에 대한 감정방법" 자료를 다시 인터넷에서 찾아서 리바이벌하였다.

그리고 이 글은 인터넷에 떠도는 여러 글들을 참고한 지극히 나 개인적인 사견임을

밝히니 참고만 하시길..^^

 

2022/06/23 - 휘뚜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