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야초에 관한130

작지만 강한 야생란(野生蘭), 병아리난초~! ▒ 작지만 강한 야생란(野生蘭), 병아리난초~! 반려동물 인구 1000만 명 시대라는 요즘 개나 고양이와 실내에서 함께 생활하는 것과는 또 다른 차원에서 도시이든 시골이든 집마다 병아리를 앞뜰에 놓아 키우던 추억이 있다. 그때나 지금이나 병아리는 귀엽고 깜찍하고 사랑스러운 이미지의 대명사가 아닐까 싶다. 그런 때문인지 병아리풀이니 병아리꽃나무, 병아리다리, 병아리방동사니, 병아리난초 등처럼 이름에 ‘병아리’란 단어가 들어가는 식물이 여럿 있다. 그중 6월에 피기 시작해 여름 더위가 절정으로 치닫는 7월에 만개하는 병아리난초가 오늘의 주인공야생화이다.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 전국에 분포한다”는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의 설명대로 제주도와 울릉도 등 섬 지역은 물론 경기·강원도 등 중부 지역까지 전국 어디.. 2021. 7. 6.
설악산에서만 사는 산솜다리(에델바이스)는 산악인의 꽃이기도. ▒ 설악산에서만 사는 산솜다리(에델바이스)는 산악인의 꽃이기도.. 한때 설악산에서 나는 솜다리를 에델바이스라고 해서 기념품으로 많이 유통된 적이 있다. 이는 한 식물학자가 텔레비전에 출연해 솜다리가 서양의 에델바이스랑 똑같다고 하는 바람에 이를 가지려는 붐이 일어나 생긴 일이다. 또 "사운드 오브 뮤직"이라는 영화에 에델바이스라는 노래가 나왔는데, 이 때문에 더욱 인기를 끌어 설악산 입구의 기념품점에서는 솜다리를 압화한 액자가 많이 나돌았던 것이다. 이 바람에 솜다리는 거의 멸종단계에 이르렀지만 요즘에는 재배에 성공하면서 개체수가 부쩍 늘어나고 있다. 산솜다리는 솜다리 중에서도 더 깊은 산에 분포하는 종으로 우리나라 북부의 깊은 산에서 자라는 우리나라 특산식물이다. 솜다리라는 이름이 붙었듯이 식물체에는 .. 2021. 6. 30.
검증된 4대 항암약초 ▒ 검증된 4대 항암약초 아래의 4대 항암약초에 대하여서는 [mbc 약초와의 전쟁팀]과 경상대학교 생명과학 연구원에서 약 6개월간 임상실험과 성분분석한 결과이다. 1. 느릅나무 80%이상 항암억제력 확인. 2. 꾸지뽕 80이상 항암 억제력 확인. 3. 하고초(꿀풀) 75% 항암 억제력 확인. 4. 와송:65%항암억제력 확인. * 산청목 : 효과 없는것으로 밣혀짐. 아래의 4대 항암약초 사용방법 내용은 허준선생의 [동의보감 본초편]과 충남대약대 교수이며 약학박사인 배기환교수님의 [한국의 약용식물]을 참고로 하였다. 1. 느릅나무. 가. 약효. 줄기와 뿌리의 껍질을 한방에서 榔楡皮(낭유피),잎을榔楡莄葉(낭유경엽)이라하여 이수(암등 난치성고질병:).通㵉(통림:소변을 잘 통하게함).消腫(소종:부스름.종기).熱㵉.. 2021. 6. 27.
잔대의 효능, 효과에 대하여.. ▒ 잔대의 효능, 효과에 대하여.. 잔대는 초롱꽃과에 딸린 여러해살이풀로 전국의 평지에서 고산에 이르기까지 널리 자생하고 있으며 지리적으로는 일본, 중국 등 온대에서 한대에 걸쳐 널리 분포하고 있다. 특히 해가 잘 드는 산 기슭이나 산등성이 또는 들판 등에 군락을 이루고 자생한다. 잔대는 봄에 나오는 어린싹을 나물로 먹는 대표적인 산나물의 하나로 이때는 [딱주]라 부르기도 한다. 잔대는 뿌리는 [사삼]이라 하여 예로부터 인삼, 현삼, 단삼, 고삼과 함께 다섯 가지 삼의 하나로 꼽아왔으며 민간 보약으로 널리 썼다. 특히 인삼과 비슷한 약효가 있다고 하는데, 사포닌과 이눌린이 함유되어 있어서 한방에서 거담, 진해, 건위, 강장제 등의 약제로 이용하며, 도라지 뿌리의 대용으로도 쓴다. 민간약으로도 기관지염이나.. 2021. 6. 22.